금시세를 확인하고 금투자를 고민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주요 금투자 방법 4가지가 있는데, 골드바 등 현물투자, KRX 금거래소, 골드뱅킹, ETF 투자 등입니다. 각각 어떤 내용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고 수수료, 세금 등 장단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금시세
말 그대로 금값이다. 금시세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이쯤되니 집에 있는 금반지들이 몇 개인지 세어보게 된다.
따로 투자용으로 골드바를 사는 것이 아니라면, 집에 실물로 존재하는 금들은 대부분 결혼과 돌잔치를 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나도 그랬다.
결혼당시 10돈짜리 골드 카드(크기, 두께 모두 카드랑 비슷한 사이즈다)에 기념일과 간단한 문구를 새겨서 기념으로 사놓았다. 이후에는 결혼기념일마다 한돈씩 추가로 사서 모았다. (크기가 너무 작아서 날짜만 겨우 새길 수 있었다)
몇 년하고 나니 금방에 찾아가는 것도 귀찮아서 멈추긴 했지만 결혼을 기념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사모았는데 이렇게 값어치가 뛸 줄은 몰랐다. 이후 아이 돌잔치때 받은 금반지, 목걸이, 팔찌 등을 합치니 30돈 가량이 모아져 있었다.
한국금거래소에서 2025년 2월 11자 기준 금시세를 보니 순금은 54만원이다. (팔때가격)
집에 있는 30돈 정도의 금들을 오늘자 시세로만 단순계산해도 1,620만원이 되는 값어치다.
당시 금 한돈 가격이 16만원 정도 했던 것 같다. 10년도 되지 않은 사이에 금 값이 3배가 넘게 올라버린 것이다.
뉴욕상품거래소 (COMEX)에서 거래되는 국제 금 선물가격 차트를 보았다. 잘은 모르지만, 심상치 않은 느낌이다. 10년넘게 형성되었던 저항대를 대차게 뚫어내고 올라오고 있는 모습이다.
보통 주식 차트 분석에서 저항선을 깨부수고 신고가를 써가고 있는 주가는 시세가 어디 까지 갈지 쉽게 예측하기 어려우니 함부로 내려서는 안된다는 말이 있다.
일단 지켜보자, 어디까지 갈지.
한국금거래소
금매입, 골드바/실버바 판매, 금시세(금값시세), 은시세 정보 제공, 다이아몬드 매입, 전국 대리점 안내!
www.soongumnara.co.kr
금투자 방법 4가지
이렇게 계속 고공행진을 하는 금값인데, 앞으로 더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이라면, 혹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하나로써 금에 투자를 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어떤 방법으로 금에 투자할 수 있는지 궁금할 것이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금투자 방법 4가지 정도를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자.
1. 금 실물투자 (골드바 등)
첫번째로, 금덩어리 실물을 직접 사서 집에 쟁여놓는 것이다. 금반지, 금목걸이 등 세공품일 수도 있고, 묵직 묵직한 골드바일 수도 있다.
1) 장점
- 집안에 금덩어리가 있다. 눈으로, 손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뭔일이 터지더라도, 전산이 망가지더라도 내가 갖고 있는 금덩어리는 어디 가지 않는다.
물론, 사람에 따라 금을 직접 보관해야 하므로 분실 등의 위험이 있어 단점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분실.. 절대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다!!
- 금을 팔았을때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을 낼 필요가 없다. 당연하다. 금을 언제 얼마에 샀는지 어떻게 알고 매매차익을 계산해서 세금을 매기겠는가.
2) 단점
비싸다.
- 금을 실물로 가공하는데 드는 세공비용도 들어간다.
- 금을 살때 부가세 10%도 내야 한다. (금값에 얹어서 계산)
- 금을 살때의 가격과 팔때의 가격차이도 꽤나 크다
2. 골드뱅킹 (은행)
두번째로 은행을 통해 금을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은행 영업점에 방문하거나 모바일로 골드뱅킹 계좌를 만들고 여기에 돈을 입금하면 은행이 입금된 금액만큼 금을 투자(적립)해주는 방식이다.
골드뱅킹이 가능한 은행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이 있다. 모든 은행에서 하지는 않는 듯 하다.
KB골드뱅킹 상품안내 - 금통장, 금투자 | KB국민은행
거래채널 신규 : 영업점, 인터넷뱅킹, KB스타뱅킹해지 : 영업점, KB스타뱅킹조회/입금/출금 : 영업점, 인터넷뱅킹, KB스타뱅킹* 단, KB스타뱅킹은 iOS,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에
obank.kbstar.com
1) 장점
- 최소 0.01그램 단위로 금을 투자할 수 있어 소액투자가 가능하다.
- 골드뱅킹 계좌에 입금만 하면 되기 때문에 금투자 방법이 간단하고 쉽다.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다.
- 인출은 시세에 따라 현금으로 인출을 할 수도 있고, 원한다면 금 실물로도 받을 수 있다. (은행 영업점에서 수령)
2) 단점
- 거래 수수료가 붙는다. 수수료는 금을 사고 팔 때 금의 기준가격 1% 정도다. (실물로 인출할땐 수수료가 5%)
- 매매차익이 발생하면 배당소득세 15.4%가 발생된다 (원천징수)
- 실물로 인출하면 10% 부가세가 붙는다.
3. KRX 금거래소 금투자
KRX는 한국거래소가 운영하고 있는 금 현물시장이다. 코스피, 코스닥 시장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주식처럼 증권사를 통해 계좌를 개설하고 해당 증권사의 MTS 등으로 본인이 직접 금을 사고 파는 방식으로 투자할 수 있다. (투자방식은 주식투자와 다를 바가 없다. 대상 종목이 회사가 아닌 금일 뿐이다)
거래가격은 시장에서 형성되는 실시간가격으로 이루어진다.
Market | 시장 안내 | 일반상품 | 금시장 | KRX금시장 개요와 장점
즐겨찾기 Google로 로그인 Google로 즐겨찾기 Facebook로 로그인 Facebook로 즐겨찾기
open.krx.co.kr
1) 장점
- 금투자 방법(거래방법)이 쉽다. 주식투자를 해본 사람이라면 똑같이 하면 된다.
- 장내 거래시 부가세 10%가 붙지 않는다.
- 골드뱅킹에 비해 수수료가 약 0.3% 정도(증권사마다 상이)로 조금 저렴하다.
-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다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가 없다.)
- 금을 실물로도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증권사 지점에서 수령)
2) 단점
- 최소 거래 단위는 1g이다. 골드뱅킹에 비핸 거래 단위가 크다.
- 금을 실물로도 인출할 수가 있는데, 이 경우 인출비용 2만원 정도가 들어가고, 거래가격의 10%로 부가세도 내야 한다.
4. 금 ETF 투자
마지막으로 증권사에서 운용하고 있는 금 ETF에 투자를 하는 방법이다. 최소 거래 단위는 ETF 별로 상이하다.
일반 ETF 투자와 다르지 않아서 투자방법이 간단하다. ETF를 선택해서 매수하면 된다. 거래 수수료는 증권사 운용상품마다 다르다. 대략 1~1.5% 정도 수수료가 있다.
매매차익에 대해선 15.4%의 배당소득세도 붙는다. (연금저축계좌,ISA,IRP로 투자를 하면 비과세)
금 투자방법 장단점 비교
위의 4가지 금 투자방법 중, 금은방에서 금을 직접 사는 것 빼고, 골드뱅킹, KRX, ETF로 투자했을 때의 장단점을 간략히 비교해보자
구분 | KRX | 골드뱅킹 | ETF | |
최소거래단위 | 1g | 0.01g | ETF 가격마다 다름 | |
장내거래 | 수수료 | 0.3% 내외 | 1% (실물거래는 5%) | 1~1.5% 정도 |
세금 | 없음 | 매매차익 15.4% | 매매차익 15.4% | |
실물인출 | 가능 | 가능 | 불가 | |
실물인출 | 인출비용 | 1개당 2만원 정도 | (실물거래수수료 5%에 포함) | - |
세금 | 부가세 10% | 부가세 10% | ||
수령 | 증권사 지점 | 은행 지점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