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39

직권면직 의미 해고와 같은 것인가 직권면직이란 말을 들으면, 근로자가 어떤 잘못을 저질러서 회사가 직권으로 해고 비슷하게 퇴직시켰다는 뉘앙스 같기는 한데, 굳이 해고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보면 어떤 다른 의미가 있는 것인가 싶기도 합니다. 직권면직이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고, 해고와는 어떻게 다른지 혹은 같은지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면직이란 참고사항(국가공무원법 직권면직 규정) 결국은 해고 노동법 해고제한 규정 적용 직권면직이란 직권면직은 취업규칙 또는 단체협약 등에 일정한 사유 발생 시 (예컨대, 근로자의 중대하고 명확한 비위행위, 유죄판결 선고, 파산, 무단결근, 피성년 후견의 개시, 노동능력 상실 등) 사용자가 근로자의 동의 없이 근로관계를 일방적으로 해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노동법상 직권면직이란 용어는 규정되어 있지 않고,.. 2022. 9. 22.
사업주 육아휴직확인서 작성 및 제출 방법 정리 육아휴직 근로자가 고용보험에서 육아휴직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사업주가 육아휴직확인서를 작성해서 제출해야 합니다. 육아휴직확인서는 근로자의 인적사항, 대상 자녀의 정보, 육아휴직기간, 통상임금 등 육아휴직급여 지급의 기준이 되는 사항들을 기재하며, 온라인 또는 직접 서류로 제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육아휴직확인서란 기재사항과 작성방법 온라인 또는 직접 제출 육아휴직 사실 확인 의무 육아휴직확인서란 남녀고용평등법상 육아휴직을 30일 이상 부여받은 근로자에게 고용보험에서 월 통상임금의 80%에 해당하는 (상한액 150만원) 육아휴직급여를 지급하는데, 고용센터는 육아휴직급여의 기준이 되는 사항들에 대해 사업주로부터 사실관계 확인을 받습니다. 육아휴직을 30일 이상 부여한 것이 맞는지, 통상임금은 얼마인지, 육아휴.. 2022. 9. 21.
일요일은 휴일이 아니다 - 주휴일과 관공서공휴일 기준 노동법상 휴일은 주휴일, 근로자의 날, 관공서 공휴일 등이 있습니다. 어느 규정을 보더라도 일요일을 휴일로 명확히 정해 놓은 노동법은 없습니다. 노동법은 일요일을 휴일로 정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일요일에 근무한다고 해도 무조건 휴일근로이고, 휴일근로수당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요일은 휴일인가 주휴일 관공서 공휴일 일요일이 휴일이 되는 경우 일요일은 휴일인가 일요일은 당연한 휴일로 알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회사와 근로자들은 일요일에 쉽니다. 은행도 쉬고, 구청도 쉬고, 동사무소도 쉬고, 공무원도 쉽니다. 저도 쉽니다. 반대로 일요일에 반드시 영업을 하고 근무를 하는 곳도 있습니다. 식당도 그렇고, 카페도 그렇습니다. 일요일에 근무를 하는 곳들은 무조건 휴일근로를 하는 것일까요? 휴일근로를 했으니 무.. 2022. 9. 21.
배우자출산휴가 10일 사용 요건과 급여 지급 의무 배우자의 출산에 따른 배우자의 건강보호와 자녀의 양육을 위해 10일의 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휴가기간은 유급으로 처리해야 하며, 일정 요건 충족 시 고용보험에서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에서 출산휴가급여가 지급된 경우 사용자의 임금지급 의무는 지급된 한도에서 면제가 됩니다.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사용 휴가기간 임금지급 의무 휴가 사용 기간 및 분할 사용 고용보험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신청서류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사용 사업주는 근로자가 배우자의 출산을 이유로 휴가를 청구하는 경우 10일의 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근로자의 근속기간과 상관없이, 계약직 등 고용형태와 관계없이 배우자의 출산을 이유로 휴가를 청구하는 근로자에게 의무적으로 부여해야 하며, .. 2022. 9. 21.
해고 통보를 받은 알바생 부당해고 구제신청 할 수 있나 사업주로부터 해고 통보를 받았다면 해고 처분이 정당한 것인지를 따져봐야 합니다.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근로자를 해고할 수 없습니다. 알바생도 마찬가지입니다. 알바도 노동법상 해고제한 규정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부당한 해고라면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1. 노동법 해고규정 2. 부당해고의 기준 - 해고사유 - 해고절차 - 해고금지기간 3. 부당해고 구제신청 노동법 해고 규정 사업주는 정당한 이유 없이 근로자를 해고할 수 없습니다. 또한, 근로자를 해고할 경우 해고사유와 해고 시기를 서면으로 작성하여 통지해야 합니다.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부당해고 등)을 하지 못한다. 사용자는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의.. 2022. 9. 20.
5인 미만 사업장 연차 휴가 적용 판단 기준 근로기준법의 연차휴가는 사업장의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인 경우에 적용되며, 5인 미만 사업장은 연차휴가와 연차수당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직원이 고정적으로 5인 이상 혹은 5인 미만이 아니라 매번 변동될 경우에는 5인 미만 사업장 여부를 법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정확하게 판단해봐야 합니다. 1. 근로기준법 연차휴가 주요내용 2. 연차휴가 적용제외 3. 상시 근로자 수에 포함되는 근로자 4. 상시 근로자 수 계산 기준(원칙) 5. 상시 근로자 수 계산 기준(예외) 6. 연차휴가 적용 상시 5인 미만 판단시 주의사항 근로기준법 연차휴가 주요 내용 근로자가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하면 15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경우에는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연수 매 2년에 대하.. 2022. 9. 20.
2023년 식대 비과세 20만원 적용 및 통상임금 최저임금 포함여부 2023년부터 식대 비과세 소득 한도가 20만 원으로 변경됩니다. 동일한 연봉이라도 식대가 기존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변경되면 소득세 및 4대 보험료가 줄어들어 직장인의 실수령액은 소폭 증가하게 됩니다. 변경된 식대 부분에 대해 통상임금과 최저임금은 어떻게 적용되는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과세소득 식대 20만원 적용 소득은 과세소득과 비과세소득이 있습니다. 비과세소득은 말 그대로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소득입니다. 회사에 다니면서 월급을 받는 근로소득자들도 비과세소득으로 인정하는 소득이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식대 항목입니다. 식대의 비과세 한도는 오랜 시간 동안 10만 원을 유지하다가 최근 소득세법 개정으로 20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개정된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받.. 2022. 9. 20.
1년 미만 근로자의 근로기준법 월차휴가 규정 근로기준법의 연차휴가는 근로자의 계속 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지 또는 1년 이상인지에 따라 발생하는 기준이 서로 다릅니다. 계속 근로기간 1년 미만인 경우 근로자의 1개월 개근 여부에 따라 월 단위로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흔히 월차 개념으로 알고 있는 '계속 근로기간 1년 미만자'의 연차휴가 발생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휴가 규정 1년 미만자의 월차휴가 월차휴가 사용기간 월차휴가 미사용수당 월차휴가 사용 촉진 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휴가 규정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계속 근로기간에 따라 아래와 같이 두 가지 형태로 연차휴가 발생 기준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 2022. 9. 19.